스카이림 SE 엘더글림 성역 튕김 현상 원인과 해결방법

엘더스크롤 V: 스카이림 SE는 수많은 모드와 자유도 높은 플레이로 오랜 시간 사랑받아온 RPG입니다. 하지만 모드를 설치한 상태에서 장시간 플레이하다 보면 특정 지역에서 예기치 못한 튕김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 엘더글림 성역(Eldergleam Sanctuary)에서의 튕김은 많은 유저들이 겪는 대표적인 문제 중 하나입니다.

게임을 30시간 이상 진행해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가, 성역에 들어가 몹을 만나거나 활로 공격하는 순간 갑자기 게임이 종료되는 현상은 매우 당황스럽고 몰입감을 떨어뜨립니다. 아래에서 엘더글림 성역에서 발생하는 튕김의 원인, 단계별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튕김 원인 분석

엘더글림 성역에서 발생하는 튕김은 단순한 버그가 아니라, 여러 가지 시스템적·모드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일 수 있습니다.

1) 스크립트 충돌

특정 모드가 성역 내부의 몹이나 이벤트와 충돌할 경우, 전투 시작과 동시에 게임이 종료될 수 있습니다.

2) 애니메이션/스켈레톤 모드 문제

XPMSSE, FNIS, Nemesis 같은 애니메이션 관련 모드가 몹의 동작과 충돌할 경우 튕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그래픽 리소스 과부하

성역 내부는 조명과 이펙트가 많은 지역으로, 고해상도 텍스처나 ENB 사용 시 VRAM 초과로 인한 튕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4) 세이브 파일 손상

특정 이벤트 직전의 세이브가 손상되었을 경우, 해당 구역 진입 시 반복적인 튕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원인은 단독으로 작용하기도 하지만, 두세 가지가 동시에 겹쳐 튕김을 유발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2. 모드 충돌 점검 및 정리

모드를 다수 설치한 상태라면, 가장 먼저 해야 할 작업은 모드 간 충돌 여부를 점검하는 것입니다.

1) LOOT 실행

모드 로딩 순서를 자동으로 정리해 주는 LOOT를 실행하여 충돌 가능성을 줄입니다.

2) 모드 하나씩 비활성화

특히 전투, AI, 애니메이션 관련 모드를 하나씩 꺼보며 문제가 해결되는지 확인합니다.

3) Nemesis 또는 FNIS 재빌드

애니메이션 모드를 사용 중이라면 Nemesis 또는 FNIS를 다시 빌드하여 스켈레톤 충돌을 방지합니다.

4) Script-heavy 모드 제거

Combat Evolved, Ultimate Combat, Wildcat 등은 내부 이벤트와 충돌할 수 있으므로 잠시 비활성화 후 테스트합니다.

모드 정리는 단순히 튕김을 막는 것뿐 아니라, 게임의 안정성과 퍼포먼스를 높이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됩니다.

3. 세이브 파일 점검 및 콘솔 활용

세이브 파일이 손상되었거나 특정 이벤트가 꼬였을 경우, 해당 지역에서 반복적인 튕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성역 진입 직전 세이브 삭제 후 재시도

이전 세이브로 돌아가거나 다른 루트로 접근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2) 콘솔 명령으로 직접 진입

`coc EldergleamSanctuary01` 명령어를 통해 성역 내부로 텔레포트하여 이벤트를 우회할 수 있습니다.

3) 몹 제거 및 AI 비활성화

`tai` 명령으로 AI를 꺼두거나 `killall`로 몹을 제거한 상태에서 진입하면 튕김을 피할 수 있습니다.

4) 새 게임으로 테스트

모드가 문제인지 세이브가 문제인지 구분하기 위해 새 게임에서 성역 진입을 시도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콘솔 명령은 문제의 원인을 빠르게 파악하고 우회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입니다.

4. 그래픽 설정 및 리소스 조정

성역 내부는 조명 효과와 식생이 풍부한 지역으로, 그래픽 리소스가 과부하될 경우 튕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ENB 사용 시 비활성화 후 테스트

ENB는 시각적으로 뛰어나지만 VRAM을 많이 사용하므로, 일시적으로 꺼두고 테스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2) 텍스처 리플레이서 모드 제거

4K 텍스처나 고해상도 리소스가 VRAM을 초과할 경우 튕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Shadow, Lighting 설정 낮추기

성역 내부는 조명 효과가 많은 지역이므로, 그래픽 설정을 낮춰보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4) VRAM 모니터링

MSI Afterburner 같은 툴을 활용해 VRAM 사용량을 확인하고, 과부하 여부를 점검합니다.

그래픽 설정을 조정하면 튕김뿐 아니라 프레임 드랍도 개선되어 보다 쾌적한 플레이가 가능합니다.

5. 충돌 로그 분석 및 고급 진단

보다 정밀한 원인 분석을 위해 충돌 로그를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1) Crash Logger 설치

SSE Engine Fixes와 함께 Crash Logger를 설치하면 충돌 원인을 로그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NetScriptFramework 사용

고급 유저라면 NetScriptFramework를 통해 충돌 시점의 스택 트레이스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3) 로그 파일 분석

`CrashLog.txt` 또는 `NetScriptFramework.log` 파일을 열어 충돌 직전의 함수 호출이나 모드 이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도구는 문제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고, 불필요한 모드를 제거하거나 설정을 조정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엘더글림 성역에서의 튕김 현상은 단순한 버그가 아니라, 모드 간 충돌, 리소스 과부하, 세이브 손상 등 다양한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모드 정리, 세이브 점검, 그래픽 설정 조정, 콘솔 명령 활용 등 다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특히 스카이림은 자유도가 높은 만큼 안정성 관리도 중요합니다. 튕김 없이 쾌적한 탐험을 위해서는 정기적인 모드 점검과 백업, 그리고 충돌 로그 분석이 필수적입니다. 위의 방법들을 단계적으로 시도해 보시면 원인을 좁혀나갈 수 있으며, 보다 안정적인 게임 환경을 구축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Previous Post Next Post